자주묻는질문
본 프로그램은 국내 또는 해외의 한국 국적을 소지한 신진연구자를 지원합니다.
1인의 연구책임자 단독으로 지원 가능하며, 공동연구과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단, 과제가 선정된 경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어진 연구비 내에서 일부 공동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연구비 사용은 자율에 맡김)
참여 연구원에 대한 특별한 자격 요건은 없습니다.
재단에서는 연구자들의 불필요한 업무를 최소화하여 연구에만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재단의 지원으로 수행하는 과제의 비율을 51% 이상으로 유지 가능한 연구자에게 지원 자격을 드립니다. 51%는 연구자의 연구활동(시간 및 노력)에 대한 비중이며, 반드시 연구비의 비중과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본 비율을 유지할 수 있다면, 타 연구과제의 수행 중이라도 지원 가능합니다.
이전에 선정되지 못한 주제로 다시 지원할 수 있습니다. 단, 이전 지원서와 문서 중복성을 비교하여 일정 비율 이상 달라야 심사를 진행합니다. 같은 주제라도 제안서를 새로 작성하셔야 하며, 이전에 제안한 내용에서 발전한 부분도 심사에 고려하고 있습니다.
본 프로그램은 연구의 혁신성, 창의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므로 타 연구사업과 동일한 연구 주제로는 지원하실 수 없습니다. 만약 타 연구비 지원 주제와 중복될 경우, 연구내용의 비교 검토 후 지원 여부가 결정됩니다. 단, 타 연구비 지원에 선정되지 못한 주제는 지원 가능합니다.
당해 연도 프로그램 공고일을 기준으로 5년 이내의 교원 임용 또는 PI 경력자만 지원자격이 주어집니다.
본 프로그램에서 허용하는 자격 중 'PI'는 Lab. Leader를 지칭하며 연구실의 총 책임자를 말합니다. 따라서, Post Doc.이나 연구교수는 지원자격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가능합니다. 재단은 지원자의 전공이나 소속을 보지 않습니다. 서경배과학재단은 다양한 관점에서 생명과학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합니다.
불가능합니다. 임용일이 공고 마감일 이전에 확정된 경우에만 지원 가능합니다. (공고 기간 내에 임용이 되는 경우 지원이 가능합니다.)
국립 병원 내에서도 연구 책임자(PI)로서 독립적인 연구실을 운영한다면 지원이 가능합니다.